-
기초연금은 일정 연령 이상이 되면 받을 수 있는 연금이지만, 개인의 소득이나 국민연금 수령 여부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특히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감액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아는 것이 중요해요.
2025년 기준 기초연금의 최대 금액은 월 342,510원이에요.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금액을 받는 것은 아니고, 몇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게 산정돼요. 우선 국민연금을 받지 않거나(무연금자), 국민연금 수령액이 월 513,760원 이하인 경우, 또는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최대 금액인 342,510원을 받을 수 있어요. 또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장애인연금을 받는 경우도 여기에 해당돼요.
그렇지만 국민연금을 일정 금액 이상 받고 있거나,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는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어요. 기초연금은 소득재분배급여(A급여) 또는 국민연금 급여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A급여가 높거나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요. 또한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받으면 각각의 연금액이 줄어들어요.
부부 두 사람이 모두 기초연금을 받는 경우에는 1인당 연금액이 20% 감액돼요. 즉,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이 342,510원이라면 부부가 함께 받을 때는 1인당 약 274,000원으로 줄어들어요. 따라서 부부가 함께 받으면 총액은 약 548,000원이 돼요. 이 감액 규정은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는 경우 소득 역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예요.
기초연금은 기본적으로 소득이 낮은 사람에게 더 많이 지급되는 구조라서 개인의 국민연금 수령액이나 기타 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정확한 수령 금액을 확인하려면 국민연금공단이나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기초연금 부부 수령액
1.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에게 지급되는 복지 제도입니다.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각각의 수령액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부부 가구로 인정될 경우 연금액이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
2. 기초연금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제도안내’ 메뉴에서 연금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부가 함께 연금을 받을 경우, 단독가구와 비교하여 지급액이 조정될 수 있으므로 본인의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기초연금 수령액은 개인의 국민연금 수령 여부, 소득 및 재산 수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 일정 금액 이상이면 기초연금이 일부 감액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부부 가구는 소득과 재산이 합산되어 적용되므로, 단독가구보다 연금액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4. 연금액 산정 기준은 매년 정부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준연금액’에서 국민연금 급여 수준에 따른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국민연금이 없거나 소득이 적은 경우에는 기준연금액을 최대한 받을 수 있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고 있으면 감액될 수 있습니다.
5.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단독가구보다 연금액이 20% 정도 감액됩니다. 이는 동일 가구 내에서 연금 수령자가 둘일 경우,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하지만 부부 중 한 명만 연금을 받을 경우, 단독가구 기준이 적용됩니다.
6. 기초연금액은 1년에 한 번씩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으로 단독가구는 최대 32만 원, 부부가구는 각각 25만 6천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액은 정부 예산과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