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정차 위반으로 인한 과태료가 부과되었는지 궁금하시다면, PC를 이용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는 정부 공식 웹사이트인 '위택스'와 '경찰청 교통민원24(이파인)'을 통해 가능하며, 본인 인증 절차만 거치면 즉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및 금액
가장 널리 알려진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하는 주정차 위반 과태료를 확인하는 '위택스'를 이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경찰이 단속하는 주정차 위반 범칙금 및 과태료를 확인하는 '경찰청 교통민원24'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웹사이트에서 조회되는 내역이 다를 수 있으므로, 두 곳 모두 확인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지금부터 각 웹사이트를 통해 조회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지방세외수입을 납부할 수 있는 '위택스' 웹사이트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위택스'를 검색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화면 중앙에 여러 메뉴가 보입니다. 그중에서 '납부하기' 메뉴를 찾아주세요.
위택스에서는 주정차 위반 과태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방세 및 세외수입을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납부하기' 메뉴에 마우스를 올리면 하위 메뉴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우리가 확인해야 할 주정차 위반 과태료는 '지방세외수입' 항목에 해당합니다.
지방세와는 별도로 부과되는 각종 부담금, 과태료 등을 이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지방세외수입'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지방세외수입' 메뉴로 들어오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과태료 내역을 조회할 차례입니다. 화면에 보이는 여러 조회 조건 중 '차량번호 조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 버튼을 통해 본인 소유의 차량에 부과된 모든 지방세외수입 내역을 한 번에 찾아볼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 검색 창이 나타나면, 개인정보(또는 법인정보)와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해당 차량에 부과된 주정차 위반 과태료 내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 및 납부를 위해서는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 등을 통한 본인 인증이 반드시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두시면 좋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경찰청 교통민원24(이파인)'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경찰관에게 직접 단속되거나, 무인 카메라에 의해 단속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화면 중앙에 위치한 '최근무인단속내역' 아이콘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최근무인단속내역'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디지털원패스, 브라우저인증서 등 편한 방법을 선택하여 본인 인증을 완료해주세요.
보안을 위한 필수적인 절차이므로 안내에 따라 정확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최근 단속된 교통법규 위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주정차 위반뿐만 아니라 과속, 신호 위반 등 무인 단속 장비나 캠코더로 촬영된 모든 내역이 표시됩니다.
사전통지 기간이거나 1차 납부기한 내에 있는 미납 과태료가 주로 조회되니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주정차 위반 과태료는 단속된 장소와 차종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4만 원, 승합차는 5만 원이 부과됩니다. 하지만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노인·장애인 보호구역에서 위반 시에는 과태료가 2~3배까지 가중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진 납부 기간 내에 납부하면 20% 감경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조회 후 바로 납부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이득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