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메일 바로가기는 다음 포털 메인에서 메일 탭 누르거나, 주소창에 daum.net 치고 들어가서 오른쪽 위에 있는 메일 아이콘 클릭하면 바로 접속할 수 있어요. 그냥 다음메일이라고 검색해도 제일 위에 바로 링크 뜨고요. 주소 외우는 거 싫으면 북마크 해두는 것도 편하죠.
말씀하신 것처럼 한메일은 예전 이름이에요. 정확히는 ‘hanmail.net’이 한메일 주소였고, 그 당시 이메일 계정 만들던 사람들이 대부분 이 주소로 시작했어요.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인터넷 처음 쓸 때 만든 사람들은 지금도 hanmail.net 쓰는 경우 많아요. 그래서 메일 주소에 hanmail.net 들어가 있으면 ‘아 이분 이메일 좀 오래됐구나’ 싶은 느낌 들죠.
지금은 새로 가입하면 hanmail.net으로는 아예 안 만들어지고, daum.net이나 kakao.com 도메인으로만 생성이 돼요.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한 이후로 자연스럽게 바뀐 건데, 기존 계정은 그대로 유지되니까 예전 한메일 주소로도 여전히 로그인 되고 메일 송수신도 다 문제 없어요. 다만 새로 만들 수는 없다는 거고요.
요즘은 이메일 자체가 업무나 인증용으로만 쓰이는 경우가 많다 보니까 메일 서비스 자체를 자주 안 열게 되는데, 그래도 중요한 메일 오고 갈 땐 아직도 다음메일 쓰는 사람들 은근히 많아요. 특히 공공기관이나 오래된 거래처랑 연락하는 경우엔 여전히 hanmail.net 주소 보이기도 해요. 또 다음메일은 광고성 메일도 자동으로 정리 잘 되는 편이라서 스팸 관리에 민감한 사람들한테는 아직도 괜찮은 선택지예요.
참고로 모바일에서는 카카오메일 앱 따로 있어서 로그인해두면 푸시 알림으로 바로 메일 확인 가능하고, 기존 다음메일 계정도 연동돼요. 예전엔 daum 메일 앱이 있었는데 지금은 카카오메일로 다 통합돼서 그쪽으로 쓰는 게 기본이에요. 그래서 daum.net 주소나 hanmail.net 주소 있는 사람도, 카카오메일 앱에서 로그인만 하면 메일 주고받는 데는 아무 문제 없어요.
한메일 바로가기
1. 포털 사이트에서 한메일을 검색하신 후,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Daum 메일 서비스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사실상 Daum 메일이 예전 한메일의 이름을 이어받은 셈이기 때문에, 예전 기억 속 한메일을 찾고 있다면 바로 이 경로를 통해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2. 기존에 사용하던 메일 주소로 로그인하시려면, 현재는 대부분의 경우 카카오 계정과 연동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예전 다음 아이디만 보유 중이라면, 카카오 계정으로 전환해주는 과정을 거쳐야 정상적으로 메일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점 참고하셔서 로그인 과정에서 당황하지 않도록 미리 확인해보세요.
3. 한메일에 대한 정보나 과거 히스토리가 궁금하신 분들은 나무위키에 정리된 내용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아요. 한메일의 시작부터 이름이 바뀌기까지의 흐름이 잘 정리되어 있어, 과거 메일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돌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답니다.
4. 2011년 5월 이전까지만 해도 메일 서비스 이름 자체가 한메일이었는데요, 이후 브랜드가 다음 메일로 통합되면서 공식적으로는 한메일이라는 명칭이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친숙한 이름으로 기억되고 있죠.
5. 알고 보니 한메일은 @hanmail.net 외에도 @hanmail2.net 같은 도메인도 존재했었네요. 게다가 tistory.com, hanmir.com 같은 다른 관련 도메인들도 한때 함께 사용되었다고 하니, 한메일이라는 이름 아래 꽤 다양한 주소 체계가 함께 운영되었었단 걸 알 수 있어요.
6. 한메일에서 다음 메일로, 그리고 현재는 카카오 계정까지 이어진 변화의 흐름은 앞서 살펴본 대로인데요. 과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앞부분에서 설명된 내용을 읽어보시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실 거예요. 시대 흐름에 따라 서비스 형태도 계속 변해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