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자기 모르는 한자가 나와서 당황한 적 있으시죠? 이럴 때 한자 검색기나 한자 사전 앱을 쓰면 정말 편한데요.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바로 필기 인식이나 음/훈으로 찾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따로 설치할 필요도 없어서 진짜 간편하더라고요.
한자 검색기, 한자 사전
포털 사이트에서 '다음 한자 사전'이라고 치면 바로 접속할 수 있어요. 꼭 다음이 아니더라도 네이버 한자 검색기도 기능은 거의 비슷해서 본인한테 편한 곳을 쓰시면 될 거예요.
예전엔 모르는 한자 나오면 두꺼운 종이 옥편을 일일이 뒤져야 했잖아요. 이젠 클릭 몇 번, 아니면 스마트폰으로 슥 그리기만 해도 바로 뜻과 음이 나오니 정말 편해졌더라고요.

검색창이 아주 직관적으로 생겼죠? 여기에 내가 아는 정보를 입력하면 되는 방식이에요. 한글로 음이나 훈을 쳐도 되고요.
아니면 다른 문서에서 본 한자를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해도 똑똑하게 잘 찾아주더라고요. 이게 은근히 편리한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물 수(水)'라는 한자를 찾고 싶을 때, 그냥 '물 수'라고 한글로 입력해 봤어요. 가장 정석적인 검색 방법이죠.
이렇게 음과 훈을 조합해서 검색해도 정확하게 원하는 한자를 딱 집어서 보여주니까 정말 편하더라고요. 급할 때 최고예요.

검색 결과 화면이 아주 깔끔하게 잘 나오죠? '물 수(水)' 한자가 정확히 나왔네요. 부수(水)와 총 획수(4획) 같은 기본 정보가 바로 보여요.
저도 가끔 쓰면서 느끼는 건데, 단순히 뜻만 알려주는 게 아니라 관련 성어나 단어까지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줘서 공부할 때도 도움이 많이 돼요.

이번에는 훈(뜻)인 '물'만 달랑 검색해 봤어요. '물'이라는 훈을 가진 한자들이 정말 많잖아요?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하더라고요.
결과를 보니까 '만물 물(物)'이 제일 먼저 나오고, 우리가 찾던 '물 수(水)'는 두 번째에 나오네요. 이렇게 훈만 알아도 관련 한자들을 쭉 볼 수 있어서 꽤 유용한 방법이에요.

이게 바로 '물'만 검색했을 때 나오는 전체 결과 리스트예요. 스크롤을 내리면 관련 한자들이 더 많이 나오고요.
'물'이 훈으로 쓰이는 경우(水)뿐만 아니라, 음으로 쓰이는 경우(勿 - 말 물)처럼 다양한 한자들이 순서대로 정렬돼서 나오니까 비교하면서 찾기 좋아요.

이번에는 반대로 음(소리)인 '수'만 검색해 봤어요. '수'라는 음을 가진 한자가 워낙 많아서 어떻게 나올까 싶었는데요.
역시나 '물 수(水)'가 가장 대표적인 한자라 그런지 맨 위에 뜨네요. 그 뒤로 '손 수(手)'나 '머리 수(首)' 같이 '수'로 읽는 다른 한자들도 쭉 이어서 볼 수 있어요.

이게 '수'를 음으로 검색했을 때 나오는 리스트예요. '수'로 읽히는 한자들이 정말 많죠? 아마 몇 페이지는 그냥 넘어갈 거예요.
재미있는 건, '수(水)'처럼 '수'로 시작하는 한자는 잘 찾아주는데, '교수(敎授)'처럼 단어 끝에 '수'가 들어가는 경우는 검색 결과 앞쪽에서는 잘 안 보이더라고요. 주로 대표 음 기준으로 찾아주는 것 같아요.

이게 진짜 유용한 필기 인식 검색 기능이에요. 음도 훈도 하나도 모르고, 그냥 눈앞에 보이는 한자의 모양만 알 때 쓰는 최후의 보루 같은 거죠.
마우스로 저기 빈칸에 대충 비슷하게 획순 맞춰서 따라 그리면 되는데요. 스마트폰이라면 손가락으로 그리면 돼서 훨씬 더 편해요. 저도 이거 자주 써요.

제가 '물 수(水)'를 마우스로 대충 그려봤어요. 삐뚤빼뚤하게 그렸는데도 꽤 인식을 잘하더라고요. 오른쪽 후보 한자들 중에 첫 번째로 '물 수'가 바로 떴네요.
이 기능의 핵심은 정확하게 그릴 필요가 없다는 거예요. 획순이 좀 틀리거나 모양이 이상해도 비슷한 후보들을 쫙 보여주니까, 이 중에 내가 찾던 게 있다 싶으면 그냥 클릭만 하면 돼요. 정말 편한 기능이니 꼭 한번 써보시는 게 좋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