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소득세율표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아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메뉴의 국세신고안내를 통해서 종합소득세 페이지로 들어간 다음, 왼쪽 메뉴에 있는 세율을 누르면 소득 구간별 세율과 계산에 필요한 누진공제액까지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걸 보면 내 소득에 맞는 세율이 얼마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종합소득세율, 종합소득세율표
종합소득세율 같이 중요한 세금 정보는 공식 기관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우선 인터넷 검색창을 열고 '국세청'이라고 검색해서 국세청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 주세요.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여러 가지 세금과 관련된 정보들을 볼 수 있는데, 오늘은 종합소득세율표를 찾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메인 화면을 보시면 위쪽에 여러 메뉴가 가로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국세신고안내'라는 메뉴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아래쪽으로 새로운 메뉴창이 열리게 됩니다. 열린 메뉴창에서 '개인신고안내'를 누르고, 그 옆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종합소득세'를 찾아서 눌러주시면 됩니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눌러주세요.
종합소득세 페이지로 화면이 바뀌었다면 거의 다 온 겁니다. 바뀐 화면의 왼쪽을 자세히 살펴보면 종합소득세와 관련된 여러 가지 메뉴들이 세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신고 방법, 공제 항목 등 다양한 정보가 있지만, 우리는 세율을 알아봐야 하니까 여기에서 '세율'이라고 쓰여있는 글자를 찾아서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세율' 메뉴를 누르면 바로 종합소득세 세율표가 나타납니다. 이 표는 '과세표준', 즉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소득 금액에 따라서 세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과세표준 금액이 1,400만 원 이하라면 6%의 세율이 적용되고, 1,400만 원을 넘고 5,000만 원 이하의 소득이라면 15%의 세율이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내 소득이 어느 구간에 들어가는지 확인해보세요.
실제 내야 할 세금을 계산할 때는 소득 구간에 맞는 세율을 곱하기만 하면 안 됩니다.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누진공제액'을 빼주어야 합니다. 최종 세금을 구하는 식은 '(과세표준 X 세율) - 누진공제액' 입니다. 만약 과세표준이 5,000만 원이라면 15% 세율 구간이니까, (5,000만 원 X 15%) - 126만 원 = 624만 원이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이 되는 원리입니다. 위에 있는 표를 보면서 직접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