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취득세율, 취득세율표
주택 취득세율은 주택 가격, 보유 주택 수, 그리고 주택이 위치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1주택자의 경우 취득가액에 따라 1~3%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다주택자나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을 취득할 때는 세율이 크게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주택 취득세율, 취득세율표
정확한 주택 취득세율 정보를 확인하려면 지방세 납부 시스템인 위택스에 접속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곳에서는 전국의 모든 지방세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고 있어, 내가 구매하려는 주택에 적용될 세율을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필요한 정보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 방문하시는 분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오실 수 있을 거예요.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여러 메뉴 중에서 '지방세정보'라는 글자에 마우스를 올리면 아래로 작은 메뉴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세목별 안내'를 선택하면 됩니다.
'세목별 안내'는 각각의 세금이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는지 자세히 설명해 주는 곳입니다. 취득세뿐만 아니라 재산세, 자동차세 등 다른 지방세에 대한 정보도 이곳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답니다.

'세목별 안내' 페이지로 이동하면 다양한 지방세 목록이 보입니다. 우리는 주택을 구매할 때 내는 세금이 궁금하니, 목록 중에서 '취득세'를 찾아서 클릭하면 됩니다.
취득세는 부동산, 차량, 기계장비 등 특정 자산을 얻었을 때 내는 세금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도세와 특별시·광역시세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우리가 찾아볼 내용은 '취득세'라는 큰 틀 안에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드디어 가장 중요한 주택 취득세율표입니다. 표를 보면 집을 돈을 주고 사는 유상 취득인지, 증여처럼 공짜로 받는 무상 취득인지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특히 유상 취득은 내가 몇 번째 집을 사는지, 그리고 그 집이 조정대상지역에 있는지에 따라 세율이 복잡하게 나뉩니다.
1주택자는 취득가액에 따라 1~3%이지만, 2주택자부터는 세율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특히 조정대상지역에서 2주택 이상을 취득하거나, 3주택 이상을 취득하는 경우 8~12%의 매우 높은 중과세율이 적용되니, 집을 사기 전 반드시 이 표를 통해 예상 세금을 확인해야 합니다.

주택이 아닌 상가나 토지, 농지 같은 다른 부동산을 취득할 때의 세율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과 마찬가지로 어떻게 취득했는지(매매, 상속, 증여 등)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농지를 구매할 때는 3%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상속받을 때는 2.3%로 세율이 더 낮아집니다. 이처럼 부동산의 종류와 취득 원인에 따라 세율이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계획에 맞는 항목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