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변환 방법 (구주소 신주소 변환)
도로명주소 변환은 예전 지번주소, 흔히 말하는 구주소에서 지금 사용하는 도로명주소, 즉 신주소로 바꾸는 거예요. 반대로 신주소에서 지번주소로 다시 찾는 것도 가능하고요. 이게 처음에는 좀 헷갈릴 수 있는데, 방법은 꽤 간단해요.
제일 정확하고 편한 방법은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이라는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는 거예요. 여기 들어가면 주소 변환하는 기능이 따로 있어서, 거기다가 기존 지번주소나 도로명주소 입력만 하면 바로 바뀐 주소를 보여줘요. 예를 들어 예전 주소가 ‘서울시 중구 다동 123번지’였다면, 검색하면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10’ 이런 식으로 바뀐 주소가 나와요.
검색할 때 도로명으로도 되고, 건물명이나 지번으로도 되니까 정확한 도로명 몰라도 그냥 건물 이름이나 동 이름만 대충 입력해도 후보 리스트가 주르륵 나와서 거기서 고르기만 하면 돼요. 특히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건 건물명으로 검색하는 게 더 빠를 때도 많고요.
또 포털 사이트에서도 주소 변환이 가능해요. 네이버나 다음 지도에 예전 주소를 입력하면 지도에서 해당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주면서 도로명주소도 같이 보여줘요. 이건 지도랑 바로 연결돼 있어서 위치 확인까지 한 번에 끝낼 수 있다는 점이 편하고요.
공공기관 서류 같은 데에 주소 입력할 때는 꼭 도로명주소로 써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변환 방법을 알고 있으면 진짜 유용해요. 특히 인터넷으로 서류 신청할 때 주소 오류 나면 제출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니까, 신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게 중요하죠.
반대로 신주소에서 구주소로 바꾸고 싶을 때도 똑같은 방법으로 검색하면 돼요. 도로명주소 안내 시스템에서는 지번 주소도 같이 보여주니까, 한 번 검색하면 양쪽 주소를 다 볼 수 있어서 비교도 쉬워요.
그리고 모바일 앱도 있어요. 도로명주소 찾기 앱 설치하면 휴대폰에서도 바로바로 검색되고, 위치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주소도 바로 나와서 현장에서 주소 확인해야 할 때 편리하더라고요. 택배 기사님들이나 배달하시는 분들도 이런 거 자주 사용하시고요.
요즘은 대부분 공문서나 계약서류 같은 데에는 신주소만 받는 경우가 많아서, 아예 처음부터 도로명주소로 익숙해지는 게 좋긴 해요. 근데 여전히 구주소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주소 변환 기능은 여전히 자주 쓰이더라고요. 주변에서 누가 주소 바꿔야 한다고 하면 이 방법 알려주면 진짜 도움 많이 될 거예요.
도로명주소 변환 방법 (구주소 신주소 변환)
도로명주소 변환 방법 (구주소 신주소 변환) 바로가기 👉
1. 먼저 카카오맵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모바일 앱을 실행해 주세요. 구주소든 신주소든 변환이 가능하고, 검색도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특히 도로명과 지번을 동시에 보여주는 기능 덕분에 주소 확인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2. 상단의 검색창에 변환하고자 하는 주소를 입력하세요. 신주소든 구주소든 상관없습니다. 예전 주소 체계에 익숙하신 분들도 그냥 기존 주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새 주소 정보까지 같이 보여줍니다.
3. 예를 들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66 같은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오른쪽에 지번주소 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이처럼 자동으로 두 주소가 같이 나타나니까, 따로 검색할 필요 없이 비교해서 확인하기에 참 좋습니다.
4. 반대로 지번주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도로명 주소도 보여집니다. ‘(도로명)’이라고 표시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상호 변환이 가능하니 주소 때문에 헷갈릴 일이 훨씬 줄어들었습니다. 종종 어떤 형태로 입력해야 할지 애매할 때가 있는데, 이럴 땐 정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